엄폐물이 없는 광대한 평원의 한가운데에, 성벽을 가지지 않는 성새가 우두커니 세워지고 있었다. 그 성새의 1실에서, 책상에 향하고 뭔가 기록을 하고 있는 남자가 있다.
날개 펜을 때때로 잉크항아리에 담그면서, 남자는 양피지에 문자를 써 늘어 놓아 간다. 의자에 앉아 있는 남자는 면의 소매장의 셔츠를 입고 있어, 그것을 팔꿈치까지 걷고 있다.
상반신은 시원한 옷차림을 하고 있는 반면, 하반신은 중후한 갑옷으로 덮여 있었다.
남자가 붓을 달리게 하고 있는 사무책상의 옆에 있는, 튼튼한 물건 걸이에는, 갑옷의 상반신 일식과 얼굴을 푹 가리는 투구를 걸쳐지고 있다. 그것들은 옻나무 칠과 같이 깊은 흑색을 하고 있어, 갑옷의 곳곳에 다루어진 금빛의 무늬가, 그 남자의 지위의 높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남자는 인간으로 말하는 곳의 20대의 후반에 접어든 얼굴을 하고 있다. 피부는 황색 빛을 띠고 있다. 작가에게 집중해 그 입은 닫혀지고 있지만, 때때로 생각해 낸 것처럼 입이 열어, 거기로부터 작은 한숨이 새고 있었다.
콩콩 방의 문을 밖으로 부터 노크 하는 소리가 들렸다.
「열려 있는, 넣고」
남자가 달리게 하고 있던 펜을 책상의 위에 두었다.
「실례합니다」
문이 열려, 칠흑의 갑옷의 기사가 1명, 남자의 사무실에 모습을 나타냈다. 기사는 실내이다고 하는데, 꼼꼼하게 투구로 얼굴을 덮어 가리고 있다. 투구 너머에 들려 오는 음성은, 흐려지고는 있지만, 변성도 하고 있지 않은 소년과 같은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이 분명히 안다.
「베르크트인가. 어떻게 했어?」
「정각이 되었으므로, 감시의 인원의 교대를 보고하러에」
책상에 앉은 남자로부터, 베르크트로 불린 기사가 응한다.
「아아, 그런가, 이제(이미/벌써/더는/정말) 그런 시간인가」
책상의 남자가 오른손을 허리의 근처에 늘리면서 말한다. 갑옷의 허리의 장갑 부분에 쇠사슬로 연결된 회중 시계를 손의 감각으로 더듬어 찾아, 뚜껑을 열어 문자판을 확인한다.
「네. 3의 각, 4개 나누기의 1을 지나고 있습니다. 고다님」
베르크트의 갑옷에도, 책상의 남자와 같은 만들기의 회중 시계가 매달아지고 있었다. 자신의 회중 시계의 문자판을 들여다 보면서, 베르크트가 고다라고 부른 책상의 남자에게 시각을 고한다.
「익숙해지지 않는 것을 하고 있으면, 시간의 감각이 미치는구나」
고다가 의자에 앉은 채로, 지친 것처럼 어깨와 목을 돌리면, 우득우득 열중한 소리가 들렸다.
「중량감이 있는 검을 휘두르고 있는 것보다도, 이런 가벼운 펜을 가지고 있는 (분)편이, 상당히 어깨가 뻐근하다. 웃기는 이야기다」
「그것은 고다님이 무인이시기 때문이지요」
「겉치레가 능숙하구나, 베르크트. 그러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어디의 세계에 있어도, 직위가 붙는 사람에게는 이런 일이 돌아 오는 것이구나…」
책상의 위에 퍼진 양피지의 다발을 바라보면서, 고다가 불쾌하게 중얼거렸다.
「? 무슨 이야기입니까?」
「단순한 혼잣말이다. 신경쓰지마」
***
당돌하게, 피라고 하는 날카로운 피리의 소리가 성새중에 울려퍼졌다. 당연, 그 피리의 소리는 고다와 베르크트의 귀에도 들렸다.
「적습입니다」
베르크트가 소년의 소리로 냉정하게 고했다.
「그와 같다. 또 “새벽의 나라”인가…요즈음 많구나」
「감시의 교대의 한중간이었습니다. 발견이 조금 늦은 가능성이」
「문제는 없을 것이다. 여기는 대평원이다. 조금 발견이 늦은 곳에서, 큰 차이는 없다」
의자에서 일어서면서 고다가 말한다.
「지시를. 고다님」
「각자, 대도해 전투준비. 성새 정문에서 대기해」
「알았습니다」
베르크트에 지시를 전하면서, 고다가 걸은 셔츠의 소매를 되돌려, 물건 걸이에 들일 수 있었던 갑옷의 (분)편에 걸어간다.
「새벽의 나라의 군사야. 여기는 이제(이미/벌써/더는/정말) 우리들의 토지, 마족령소의 나라이다. 귀군은 국경선을 침범하고 있다. 조속히 떠나지고」
칠흑의 갑옷을 입은 고다가, 인간의 군세를 앞에 경고한다. 고다를 전투 대형의 맨앞줄에 둬, 칠흑의 이즈의 기병대는 규율 좋게 정렬하고 있다. 그 수 대략 50.
「이즈의 기병대의 대장과 판단한다. 모, 새벽의 나라를 시중드는 기사가 1명, 데미로후라고 한다」
대하는, 인간령 새벽의 나라의 세력은 200을 넘고 있었다. 은빛의 갑주를 감기는 새벽의 나라 기사단 중(안)에서, 대장 데미로후의 거체를 싸는 갑주와 메이스만은, 다른 것과는 다른 희미한 창 색상을 띠고 있었다.
「단도직입에 말씀드린다. 빠르게 성새를 방폐[放棄] 해, 항복해. 이것은 경고는 아니고, 최후 통고이다」
이즈의 기병대들의 사이에 긴장이 달렸다.
「…갑자기 최후 통고란, 송구한다」
베르크트를 옆에 따를 수 있었던 고다가 딱딱한 어조를 무너뜨려, 기가 막힌 모습으로 중얼거렸다.
「그야말로, 내가 이즈의 기병대 대장이다. 최후 통고라고 했는지, 데미로후전? 우리들에게 이 소의 나라의 호를 방폐[放棄]해와?」
「그런 일이 된다. 피아 병력차이는 4대 1. 게다가, 방패도 가지지 않는 귀군에 승산이 얼마나 있으리라. 대장전, 항복해 주시면 난폭하게는 하지 않습니다. 영단을 바랍니다」
데미로후가 유연히 지어 고했다.
데미로후의 말한대로, 이즈의 기병대의 기사들은 누구 1명으로서 방패를 가지고 있지 않다. 방패 롱 소드창궁메이스와 다양한 장비로 공방을 굳히고 있는 새벽의 나라 기사단에 대해서, 이즈의 기병대는 단일의 장비만으로 통일되고 있었다. 즉, 칠흑의 전신 갑주와 허리에 띤 칼집에 거둘 수 있었던 호리호리한 몸매의 칼(형상은 일본도에 아주 비슷한다)이다.
2개의 군세가 대치해, 공기가 팽창하고 있는중, 침묵을 찢은 것은 고다의 웃음소리였다. 킥킥, 고다가 어깨를 흔들게 하면서 웃고 있다.
「잘도 큰 소리를 치는 것…. 데미로후라고 말했는지. 너…우리들 이즈의 기병대를 모욕할까…」
「…말로 말해도 모르는가. 결국은 마족이야」
데미로후가 콧김을 거칠게 해, 어조를 무너뜨린다.
일순간의 침묵.
대평원의 저 쪽에서, 1마리의 새가 날카롭게 운다. 그것을 신호에, 한계까지 팽팽하고 있던 긴장이 튀었다.
전투씬에서 발도술 묘사 때문에 예전 소설들을 보는 느낌이 드네요. 예전에 발도술 유행할때는 한국 소설에서도 유행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실전성이 없다는게 알려지면서 사라졌는데 아직도 일본 소설에서는 최강의 필살기로 나오니 기분이 묘하네요. 여기서 발도술은 검술이 아니라 에너지 포격같은 느낌이긴 한데...
아직 한 70퍼 정도만 읽었는데..
개인적으로 느낀 점을 좀 쓰자면
시점 변경이 너무 정신없게 일어나서 몰입도가 떨어지고,
저는 다른 등장인물보다 주인공의 이야기 위주로 풀어나가는걸 원했습니다
그렇기에 '꼭 이런 내용까지 하나 하나 설명해야하나?' 하고 느끼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덕분에 이야기 전체가 루즈하게 흘러가는 듯한 인상이었습니다
오버로드는 잘 읽었던 작품인데 이건 어떨지 궁금하네요
잘 보겠습니다 감사해요
저도 마검이 있긴 있죠
옆에 여자가 X버로드에 알베도가 떠오르네요
일러스트랑 줄거리를 보고 확실히 오버로드 느낌이 강하네요 ㅎㅎ. 잘 보겠습니다~~
일러부터 오버로드 느낌이...하지만 기대되넹..재밌어보이네욤..
쿢쿢제오른손이 이소설을 원하는군요..
마이쮸 잘보고있습니다 라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주인공 옆에있는 캐릭이 킹버러드느낌의 캐릭이다!!!!
이런 느낌의 소설 너무 좋습니다! 연애 요소가 뭔가 애매모호한게 아쉽습니다만...
전기물인데 늘어진다라.. ㅜ 걱정이네용
일러스트를 보니 해골은 개그캐릭터느낌이 좀 있네요
전투씬에서 발도술 묘사 때문에 예전 소설들을 보는 느낌이 드네요. 예전에 발도술 유행할때는 한국 소설에서도 유행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실전성이 없다는게 알려지면서 사라졌는데 아직도 일본 소설에서는 최강의 필살기로 나오니 기분이 묘하네요. 여기서 발도술은 검술이 아니라 에너지 포격같은 느낌이긴 한데...
잘보겟 습니다^^
이런작품보면 오버로드가 진짜 희대의작품이었던거같음 잘보겠습니다.
워 고퀄인거같은데 입문하기가 뭔가 꺼료지는 작품이다
이거 읽다보니까 약간 마지막 흑막이 마왕일 것 같은 그런 느낌이 .... ㅠㅠ
주인공 신념있는 무인타입 좋네요 ㅎㅎ
완결에 가까운듯한데 완결이 아닌게 아쉽네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히로인은 역시 얀데레
택본나라(http://txtworld.kr) 추천합니다
오버로드나 고블린 슬레이어 이후 약간 어두운 느낌판타지가 땡겼었는데 감사합니다
아직 한 70퍼 정도만 읽었는데..
개인적으로 느낀 점을 좀 쓰자면
시점 변경이 너무 정신없게 일어나서 몰입도가 떨어지고,
저는 다른 등장인물보다 주인공의 이야기 위주로 풀어나가는걸 원했습니다
그렇기에 '꼭 이런 내용까지 하나 하나 설명해야하나?' 하고 느끼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덕분에 이야기 전체가 루즈하게 흘러가는 듯한 인상이었습니다